TOP
시작페이지로 시작페이지로
즐겨찾기추가 즐겨찾기추가
맑음 서울 29 °C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찾기 비밀번호찾기
0
서로의 생각을 말하다! 열린 커뮤니티 세상!
베스트컨텐츠
자유게시판
매장
디자이너
사입삼촌
뉴비
업체 신고
유머·감동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신고하기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 만기해지 시점 도약계좌 환승방법(2023년 12월 기준)
자유게시판 > 상세보기 | 2023-12-05 15:19:01
추천수 5
조회수   82

글쓴이

익명

제목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 만기해지 시점 도약계좌 환승방법(2023년 12월 기준)
내용
대표이미지

2022년  2월, 정부에서 발표한 청년희망적금 가입한 분들 많으시죠? 

청년희망적금 가입자 200만명 정도의 만기가 2024년 2월 드디어 돌아옵니다!!

                                 

                            

 

매달 50만원씩 2년동안 꾸준히 납입을 해 왔다면 내년 2월 원금 1,200만원에 더해 금리 6%와 저축장려금 최대 35만원을 받아

총 1,310만원을 받을 수 있다고 하여 인기를 끌었던 청년희망적금이 만기를 앞두고 있습니다.

 

역시 저축의 힘은 위대하네요!

 

저도 벌써 원금이 천만원이 넘었습니다.

 

     

 

자기가 넣은 원금에 더해 높은 금리의 이자, 그리고 나라에서 주는 저축장려금 거기다가 일부 비과세까지 적용받을 수 있는 

상품이다보니 많은 사람들이 이 상품에 가입했었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금이라는 구조적 한계 때문에 2년간 최대한 받을 

수 있는 금액이 110만원에 불과하기 때문에 그다지 큰 메리트는 없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많은듯 합니다.

 

그런데 정부에서 2023년 청년도약계좌라는 이름으로 비슷한 상품을 내 놓았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은 최대 납입한도가 50만원, 기간은 2년이었지만, 청년도약계좌는 최대납입한도 70만원, 기간이 5년으로

조금 더 장기적인 적금입니다.

 

어차피 저축을 할 거라면 이런 정부 상품을 이용하는 것이 비과세 혜택도 받고, 은행이자 이외에 정부지원금도 받을 수 있어서

목돈 모으기는 유리하지만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은 동시에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올해 6월 청년도약계좌가 처음 나왔을때 청년희망적금을 해지하고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탄 사람들도 많았는데요.

 

내년 2월 청년희망적금 만기가 도래하면 '청년도약계좌'로 연계해 납입할 수 있는 방안을 정부가 추진 중이라고 하네요!!

 

오늘은 이 상품의 만기금액에 대해서 알아보고 만기해지 시점과 청년도약계좌로의 환승방법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끝까지 읽는다면 1,307만원을 받아 새롭게 돈을 모으는데 보탤 수 있을 것입니다.

 

 

►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


 

청년희망적금 계좌에 매월 납입이 가능한 금액은 최대 50만원까지입니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이렇게 넣기는 어려울 수 있으니 최소

10만원을 기준으로 계산해 보고, 30만원과 50만원에 대해서 다시 계산해 보겠습니다.

 

금리는 최대 5% + 1% 우대금리를 적용해서 계산해봅니다. 가입 당시 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이 우대금리를 최대로 적용받을 수 

있었습니다. 내가 어디서 계좌를 터서 가입했는지 확인해보시면 좋습니다. 다만, 우대금리가 0.1%~0/2%정도 차이나도 최종 

받는 금액에는 큰 영항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 참고하시고요.

 

           
           

                  

 

       

 

최소금액 10만원을 납입한 사람은 2년 이후 만기금액으로 262만 2,000원을 받게 됩니다. 저축장려금이 7만2,000원 정도이기 때문에

크지 않은 것이 사실이죠. 여유가 된다면 조금 더 넣었다면 좋았을 걸 하는 생각이 들지도 모르겠네요.

 

30만원을 납입한 사람은 원금 720만원에 이자 45만원, 저축장려금 21만 6,000원을 넣어서 총 786만원을 받게 됩니다. 여기서부터는 

조금 의미있는 금액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786만원으로 뭐 할게 있을까? 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이 정도면 작은 사업을

시작하기 위한 시드로 충분합니다. 돈을 모아 돈을 불리는 과정으로 넘어갈 수 있는 강력한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50만원 납입했다면 원금과 이자, 저축장려금을 통틀어 1,311만원을 가져갑니다. 앞서도 이야기했지만, 2년간 110만원을 더 받아

가는게 무슨 의미냐? 라고 생각하기보다는 1,311만원이라는 큰 목돈이 생긴다는 데 포커싱을 해야 합니다. 이 정도 금액이면 왠만한

사업자금 정도는 되니까요. 대출이나 지원금을 합한다면 훨씬 좋은 기회를 잡을 수 있겠죠.

 


►  청년희망적금 만기해지 시점


 

이 상품은 22년 2월~3월에 가입이 시작되었습니다. 따라서 내가 가입하고 첫 금액을 납입한 날로부터 24개월 뒤가 만기해지 시점이

됩니다. 아마 지금쯤 언제쯤 만기가 되니 알고 있으라고 문자가 왔을 것입니다.

 

이전에 중도해지를 고민하는 사람들도 있을텐데, 중도해지하면 받게 되는 혜택이 크게 줄어들게 됩니다. 지금 남은 기간이 3개월 

정도이니 돈이 급하게 필요한게 아니라면 꾸준히 150만원 정도를 더 납입해서 100만원의 이자를 포함한 헤택을 가져가는게 훨씬

유리합니다.

 

 

►  청년희망적금 도약계좌 환승방법


 

정부가 바뀌면서 기존의 청년 계좌 혜택을 폐지하고 청년도약계좌라는 상품을 내놓았습니다. 문제는 두 개 중복 가입이 불가하기 

때문에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들은 도약계좌에 가입할 수 없었죠. 그래서 만기까지 기다렸다가 가입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문제는 도야도앾ㅖ좌는 60개월짜리 상품상품이라는 것인데요. 무려 5년을 다시 하려고 보니 답답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희망적금의 만기금액을 모두 한꺼번에 납입하는 조건으로 18개월 납입을 인정해주고, 19개월차부터 납입할 수 있도록 하는 

우회책을 마련했습니다. 이른바 환승방법인데요.

 

생각을 해보면 이 제도는 환승하는 사람들에게 꽤나 유리한 상황입니다. 원래는 5년동안 60번을 꼬박꼬박 납입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18개월을 일시납으로 납부함으로서 예금 효과를 일으킬수 있기 때문이죠. 뭐 크게 금액 차이가 나지는 않겠지만,

기간을 단축시키고 거기에 소득을 늘릴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봅니다.

 

   

 

표면 이율상으로 17.6%의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게 되는 셈인데 최대 정부기여금을 적용받고 금리도 최대금리를 적용받으며

5년간 빠짐없이 납입해야 하는 등 다양한 제약조건이 있지만, 그래도 유리한 건 사실이니 이번 2월~3월에 만기해지해서 돈을

받는다면 연계해서 청년도약계좌로 환승해 보시기 바랍니다.

 

 

사실 매달 50만원씩 꾸준히 저축한다는 게 쉬운 일은 아닙니다. 이걸 해냈다면 어느 정도의 금융 근육이 만들어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투자가 아닌 저축이었기에 본격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공부를 많이 해야겠지만요.

 

 

추천 스크랩 소스보기
수정삭제목록
글쓴이가 작성한 글
+ 더보기
게시판명 제목 조회수 추천수 등록일
게시물이 없거나 리스팅 권한이 없습니다
자유게시판 전체목록 (2082)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CATEGORY
자유게시판 2082
매장 10
디자이너 0
사입삼촌 323
뉴비 405
업체 신고 1
유머·감동 356
2d클라우드
트랜드
자유게시판
프로모션
디자이너
사입
촬영대행
스튜디오
알바
동대문
구인구직
렌탈
광고
야간
좋아하는
공지사항 더보기
스마트 호출 "꾹" 사업파...
★디디엠톡 가입 시 스타...
현재접속자